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 Article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Vol. 12, No. 5-1, pp.383-395
ISSN: 2093-5919 (Print) 2586-278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21
Received 17 Aug 2021 Revised 01 Sep 2021 Accepted 24 Sep 2021
DOI: https://doi.org/10.15531/KSCCR.2021.12.5.383

우리나라의 누적강수량 추정모형 개발

엄기철
세종데이터연구소 수석연구관
Model of Accumulate Rainfall in Korea
Eom, Ki Cheol
Sejong Data Research Institute, Chief Researcher, Suwon, Korea

Correspondence to: kceom6578@hanmail.net (Kyeonggi Suwon Suseong street 92, Nongminhoikoan 205, 16432, Republic of Korea. Tel. +82-31-291-3346)

Abstract

This study focus on development of the model to estimate accumulated rainfall. The principle results are as follows : (1)A model to estimate accumulated rainfall according to Julian date was developed as a sigmoid function by the method of least squares. (2)A model to estimate total rainfall in a year according to longitude and latitude was developed as a 3-dimension function by the method of least squares. (3)The periodic variation of mean monthly rainfall was much more than spatial variation of that, based on the standard dev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standard error. (4)Amount of change of the accumulated rainfall per one degree of longitude and latitude was calculated. (5)Range of accumulated rainfall according to longitude and latitude was calculated. (6)The amplitude and the critical point of accumulated rainfall according to longitude and latitude was analysed by the 3-dimen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efficient of the KSRM and the coordinates.

Keywords:

Accumulated Rainfall, Model, Sigmoid Function, 3-Dimension Function, Longitude and Latitude

1. 서론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는 시기별 평균값 비교를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연구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30년 전의 평균기온과 현재의 평균기온을 비교하여 지구온난화 정도를 결론짓는 연구결과도 많이 있다. 또한 기후변화 영향이 발현되는 시기 분석에 관한 연구로 중국에서는 인위적 영향에 의한 온난화가 지역별로 다른 시기에 나타남을 전망하였으며(Sui, et al., 2014), 우리나라는 최고 및 최저기온의 변화시점을 2030년대 이후로 전망하였다(Lee et al., 2016).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변동성의 크기에 대한 연구로 해당 추정 모델의 historical run의 time series를 사용하는 경우(Mahlstein et al., 2011), preindustrial을 사용하는 경우(Hawaskins and Sutton, 2012), naturalonly run의 기간에 대한 각 격자점별 표준편차(2σ)를 사용하는 경우(Boo et al., 2016) 등이 있다. IPCC AR5(2013)에서는 열대지역의 자연적 변동 폭이 작기 때문에 이런 지역은 작은 기후변화에도 생태계가 취약해질 수 있다고 하였다(Mahlstein et al., 2012 : Hawaskins and Sutton, 2012).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는 근래로 오면서 RGI 프로그램을 이용한 평균기온 및 적산온도 보간 연구(Yu et al., 2020),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및 통계적 상세화 연구(Cho et al., 2020), 등 한국기후변화학회지에 과거보다 발전된 연구방법에 의한 논문이 발표되어 왔다. 또한 삼각함수와 scaling technique을 이용한 연구들(Eom & Eom, 2008 ; Eom & Eom, 2013 ; Eom et al., 2014a, ; Eom et al., 2014b ; Lee et al., 2015)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관련 연구에 새로운 data해석 방법으로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방법을 제시한 결과도 있다(Eom et al., 2020). 본 연구는 Sigmoid 함수(Eom & Eom, 2008)를 이용하여 년 중 Julian date 별 목적 지역의 누적강수량 추정 모형 및 지역별 경도와 위도에 따른 누적강수량의 변화양상에 대한 3-dimension 모형을 개발하고, 그 모형들의 계수 분석을 통하여 누적강수량의 변화 진폭과 급격히 변화되는 시기를 분석코자 수행되었다.


2. 재료 및 방법

2.1. 누적강수량 추정모형 개발

본 연구에 사용된 기상data는 우리나라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지역별 및 시기별 강수량 data를 활용하였다.

연중 Julian date별 누적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Sigmoid 함수(Lieth et al., 1996 : Xinyou et al., 2003 : Eom & Eom, 2008)로 선정하고 최소제곱법에 의해 오차가 최소인 계수를 산정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1).

EAR=a/1+exp-X-Xo/b(1) 
  • *E[AR] : 누적강우량 추정치
  •  X : Julian date
  •  a,b,Xo : 지역별 계수

지역별 경도와 위도에 따른 연간 누적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3-dimension 함수로 선정하고 최소제곱법에 의해 오차가 최소인 계수를 산정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2).

EAR=Eo+A X+B Y(2) 
  • 단, E(AR) : 누적강수량
  •      X : 경도
  •      Y : 위도
  •      A,B,Eo : 지역별 계수

2.2. 각 모형의 계수분석을 통한 누적강수량의 변화 진폭과 변화 시기 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된 Sigmoid 모형(1)의 계수 a가 클수록 변화 진폭이 크다는 것을 뜻하며, Xo의 절대 값이 클수록 변화 시기는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3-dimension 모형(2)의 계수 A와 B는 각각 X와 Y에 대한 편미분 값이 되므로, 경도와 위도가 1도씩 변할 때 누적강수량이 변화되는 양을 의미한다.


3. 결과 및 고찰

3.1. 월 평균 강수량의 변화양상

우리나라 72 지역별 월 평균 강수량(Fig. 1A)에 의해 산정된 과거 30년간(1981 ~ 2010)의 우리나라의 월 평균 강수량은 112.26 mm이었으며, 연간 표준편차(Fig. 1B)는 95.80 mm이었다.

Fig. 1.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average monthly rainfall during 30years according to district (A : Average with standard deviation bar, B : Standard deviation)

우리나라의 시기별 평균 월 강수량(Fig. 2C)에 대한 변이계수(CV)는 8월에 최저점이 나타나는 2차 함수 형태의 변화양상을 보였다(Fig. 2D).

Fig. 2.

Averag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average monthly rainfall during 30years according to period (C : Average with standard deviation bar, D : coefficient of variation)

우리나라의 지역 및 시기의 평균 월 강수량에 대한 표준오차(SE : standars error)는 각각 3.29 및 27.65 mm로서, 평균 월 강수량은 시간적 변이가 공간적변이 보다 훨씬 더 크다고 판단된다(Table 1).

The standard error(SE) of average monthly rainfall during 30years according to district and period

3.2. 지역별 Julian date에 따른 누적강수량 추정 모형 개발

우리나라 72개 지역별 Julian date에 따른 누적강수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Sigmoid 함수의 모형(모형 명 KSRM : Korea Sigmoid Rainfall Model)을 개발하였다(3).

EARi=ai/1+exp-X-Xoi/bi(3) 
  • 단, E[AR]i : 지역별 누적강우량 추정치
  •      X : Julian date
  •      ai, I, Xoi : 지역별 계수

72개 지역별 누적강수량의 실측치(점)와 추정치(선)는 매우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다(Fig. 3). 특히, 실측치와 추정치의 결정계수(R2)가 72개 전 지역이 0.99 이상이고, 각 계수의 평균값에 대한 standard error 값이 a, b 및 Xo가 각각 0.019, 0.058 및 0.015인 것을 보아도 본 모형은 매우 정확한 추정 모형이라고 판단된다(Table 2).

Fig. 3.

Measured and estimated accumulate rainfall according to Julian date by KSRM for each area

The coefficient and standard error for the KSRM

본 모형을 이용하여 임의 지역의 임의 기간 동안의 누적강수량은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4).

TRit2-t1=0t2EARdt-0t1EARdt                           =ai/1+exp-X2-Xoi/bi                         -ai/1+expX1-Xoi/bi(4) 
  • TRi : 임의지역의 임의기간 동안의 누적강수량
  • t1. t2 : Julian date
  • E[AR] : KSRM의 누적강우량
  • ai, bi, Xoi : KSRM의 지역별 계수

3.3. KSRM 모형의 지역별 계수 설정

최소제곱법 방법에 의해 산정된 KSRM의 각 지역별 계수는 다음과 같다(Table 3).

The coefficient of KSRM model according to district

3.4.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연간 누적강수량 추정모형 개발

우리나라 어느 지역의 좌표 (경도 및 위도)별 연간 누적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3-dimension 함수의 모형을 개발하였다(5), (Fig. 4).

EAR=1,023.8+18.96X-58.03Y(5) 
  • 단, E[AR] : 누적강수량
  •      X : 경도
  •      Y : 위도
Fig. 4.

Yearly rainfall according to longitude and latitude (E : Horizontal axis is longitude, F : Horizontal axis is latitude)

상기 모형을 이용하여 경도 및 위도가 1도씩 변화될 경우 연간 누적강수량의 변화량은 상기 모형 식을 경도와 위도에 대하여 각각 편미분하여 산정할 수 있다(6).

dARx=ABSdAR/dX, dARy=ABSdAR/dY(6) 
  • 단, d[ARi] : 누적강수량의 변화량
  •      X 및 x : 경도
  •      Y 및 y : 위도

상기 식 (5)식 (6)에 의하여 산정한 결과, 연간 누적강수량은 경도가 1도씩 동쪽으로 갈수록 18.96 mm씩 증가하였으며, 위도가 1도씩 고위도로 갈수록 58.03 mm씩 감소하였다

또한 좌표에 의하여 영향 받는 연간 누적강수량의 변화 범위(Range)는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7).

dARx=ABSdAR/dX×Gx dARy=ABSdAR/dY×Gy(7) 
  • 단, d(ARi) : 누적강수량의 변화범위
  •      X : 경도
  •      Y : 위도
  •      Gi : 경도 및 위도의 변화범위

상기 식 (7)에서의 Gx는 6.256, Gy는 5.004이었으며, 이에 따라 산정된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연간 누적강수량의 변화 범위는 각각 118.6 mm 및 290.4 mm이었다.

3.5. 누적강수량 추정 모형의 계수 분석을 통한 누적강수량 변화양상 분석

연간 누적강수량과 KSRM 모형의 각 계수들과의 상관관계(Fig. 5)에서 알 수 있듯이, 연간 누적강수량이 많은 지역일수록 누적강수량의 변화 진폭이 크며(Fig. 5G), 누적강수량이 급격히 변화되는 시기(critical point)는 빨랐다(Fig. 5I).

Fig. 5.

Relationship between yearly rainfall and the coefficient of KSRM (G : coefficient a, H : coefficient b, I : coefficient Xo)

또한 좌표(경도 및 위도)와 KSRM모형의 각 계수들과의 상관관계(Fig. 6)에서 알 수 있듯이, 경도가 서쪽이고 고위도일수록 누적강수량의 변화 진폭은 컸으며(Fig. 6J) 누적강수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이 더 뚜렷하였으며(Fig. 6K), 경도가 동쪽이고 고위도일수록 누적강수량이 급격히 변화되는 시기(critical point)는 빨랐다(Fig. 6L).

Fig. 6.

Relationship between coordinate and the coefficient of KSRM (J : coefficient a, K : coefficient b, L : coefficient Xo)


4. 결론

본 연구는 지역별 년 중 Julian date에 따른 누적강수량과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연간 누적강수량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역 72개 지역별 월 평균 강수량에 대한 월 간 및 지역 간 표준오차(standard error)는 각각 27.65 mm 및 3.29 mm이었으며, 이는 월 평균 강수량의 시간적 변이가 공간적 변이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뜻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전역 72개 지역별 년 중 Julian date에 따른 누적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Sigmoid 함수의 모형(KSRM)을 개발하였으며(1), 우리나라 전역 72개 지역별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KSRM 모형의 계수를 산정하였다.

EAR=a/1+exp-X-Xo/b(1) 
  • *E[AR] : 누적강우량 추정치
  •  X : Julian date
  •  a,b,Xo : 지역별 계수

셋째, 경도와 위도에 따른 연간 누적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3-dimension 함수의 모형을 개발하였으며(5), 경도가 1도씩 동쪽으로 갈수록 년 강수량은 18.96 mm씩 증가하였으며, 위도가 1도씩 고위도일수록 년 강수량은 58.03 mm씩 감소하였다.

EAR=Eo+AX+BY(5) 
  • 단, E(AR) : 누적강수량
  •      X : 경도
  •      Y : 위도
  •      A,B,Eo : 계수

넷째, 경도 및 위도에 의하여 영향받는 누적강수량의 변화 범위는 각각 118.6 mm 및 290.4 mm이었다.

다섯째, 연간 누적강수량이 많은 지역일수록 누적강수량의 변화 진폭이 크며, 누적강수량이 급격히 변화되는 시기(critical point)는 빨랐다.

여섯째, 경도가 서쪽이고 고위도일수록 누적강수량의 변화 진폭은 컸으며, 경도가 동쪽이고 고위도일수록 누적강수량이 급격히 변화되는 시기(critical point)는 빨랐다.

본 연구는 위 결과와 함께 몇 가지 시사점을 준다.

밭작물 물 관리를 위해서는 우선 water balance가 구명되어야 하며 input 인자로서는 강수량과 관개량 및 모세관상승량이 있으며, output 인자로서는 증발산량, 유거량 및 지하배수량이 있다. 온도 및 습도인자는 증발산량 추정에 필요한 인자이며, 본 연구에서 수행한 누적강수량 추정모형은 output량을 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밭작물 재배 시 물 관리 schedule을 수립하기 위하여서는 임의지역의 임의기간 동안의 누적강수량 산정이 필수 사항이며, 본 모형을 이용하여 임의 지역의 임의기간 동안의 누적강수량은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4).

TRit2-t1=0t2EARdt-0t1EARdt                           =ai/1+exp-X2-Xoi/bi                         -ai/1+expX1-Xoi/bi(4) 
  • TRi : 임의지역의 임의기간 동안의 누적강수량
  • t1, t2 : Julian date
  • E[AR] : KSRM의 누적강우량
  • ai, bi, Xoi : KSRM의 지역별 계수

이와 같은 경우 본 KSRM은 아주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경도와 위도에 따른 누적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3-dimension모형도 금후 기후변화 관련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식품기술융합창의인재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과제번호: 120017-02).

References

  • Boo KO, Shim SB, Kim JE, Byun YH, Cho CH, 2016. Emergence of Anthropogenic Warming over South Korea in CMIP5 projections.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7 : 421-426. [https://doi.org/10.15531/ksccr.2016.7.4.421]
  • Cho JP, Kim JU, Choi SK, Hwang SW, Jung HC. 2020. Variability analysis of climate extreme index using downscaled multi-models and grid-based CMIP5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11: 123-132. [https://doi.org/10.15531/KSCCR.2020.11.2.123]
  • Eom KC, Eom KR. 2008. Mathematics for agricultural sciences. Daewon Publishers. Korea. Seoul. 123-491 (in Korean).
  • Eom KC, Eom HY. 2013. Estimation model of the change in daily leaf surfacetemperature using scaling technique. Korean J. Soil Sci. & Fert. 46: 359-364. [https://doi.org/10.7745/KJSSF.2013.46.5.359]
  • Eom KC, Lee BK, Kim YS, Eom HY. 2014. Comparison of the change in daily air and surface temperature of red-pepper leaf and soil. Korean J. Soil Sci. & Fert.47: 345-350.
  • Eom KC, Park SJ, Lee BK, Eom HY. 2014. Estimation of the changes in daily air and soybean leaf surface temperature using the E&E model. 8th Asian Crop ScienceAssociation Conerence [ACSAC8] Vietnam. p.84-85.
  • Eom KC, Kim LY, Im CI, Park YH, Park MS, 2020. J. Climate Change Res. 11 : 529-538. [https://doi.org/10.15531/KSCCR.2020.11.5.529]
  • Hawkins E, Sutton R, 2012. Time of emergence of climate signals. Geophys Res Lett. [https://doi.org/10.1029/2011GL050087]
  •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e BK, Jung PK, Lee WK, Lim CH, Eom KC. 2015.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of crop leaf and soil.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6 : 209-221. [https://doi.org/10.15531/ksccr.2015.6.3.209]
  • Lee D, Min SK, Park C, Suh MS, Ahn JB, Cha DH, Lee DK, Hong SY, Park SC, Kang HS, 2016. Time of emergence of anthropogenic warming signals in the northeast Asiaassessed from multi-regional climate models. Asia-Pac. J Atmos Sci 52 : 129-137. [https://doi.org/10.1007/s13143-016-0014-z]
  • Lieth JH, Fisher PR, Heins RD, 12996. A phasic model for the analysis of sigmoid patterns of growth. Acta Horticulturae, 417 : 113-118. [https://doi.org/10.17660/ActaHortic.1996.417.13]
  • Mahlstein I, Knutti R, Solomon S, Portmann RW, 2011. Early onset of significant local warming in low latitude conturioes. Environ Res Lett. [https://doi.org/10.1088/1748-9326/6/3/034009]
  • Mahlstein I, Hegerl G, Solomon S, 2012. Emerging local signals in observational data. Geophys Res Lett. [https://doi.org/10.1029/2012GL053952]
  • Sui Y,. Lang X, Jiang D, 2014. Time of emergence of climate signals over China under the RCP 4.5 scenario. Climate Change 125:265-276. [https://doi.org/10.1007/s10584-014-1151-y]
  • Xinyou Y, Jan G, Egbert A, Lantinga JV, Huub JS, 2003. A flexible sigmoid function of determinate growth. Annals of Botany 91 : 361-371. [https://doi.org/10.1093/aob/mcg029]
  • Yu DS, Kwon OC, Kim HG. 2020. A simple program improving uncertainly average temperature and growing degree days based on RCP scenario. Journalof Climate Change Research 11: 113-122. [https://doi.org/10.15531/KSCCR.2020.11.2.113]

Fig. 1.

Fig. 1.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average monthly rainfall during 30years according to district (A : Average with standard deviation bar, B : Standard deviation)

Fig. 2.

Fig. 2.
Averag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average monthly rainfall during 30years according to period (C : Average with standard deviation bar, D : coefficient of variation)

Fig. 3.

Fig. 3.
Measured and estimated accumulate rainfall according to Julian date by KSRM for each area

Fig. 4.

Fig. 4.
Yearly rainfall according to longitude and latitude (E : Horizontal axis is longitude, F : Horizontal axis is latitude)

Fig. 5.

Fig. 5.
Relationship between yearly rainfall and the coefficient of KSRM (G : coefficient a, H : coefficient b, I : coefficient Xo)

Fig. 6.

Fig. 6.
Relationship between coordinate and the coefficient of KSRM (J : coefficient a, K : coefficient b, L : coefficient Xo)

Table 1.

The standard error(SE) of average monthly rainfall during 30years according to district and period

SE according to district SE according to period
3.29 mm 27.65mm

Table 2.

The coefficient and standard error for the KSRM

R2 a STE(a) b STE(b) Xo STE(Xo)
Max 0.9992 2,064 66.63 75.63 4.74 220.15 8.64
Min 0.9950 842.3 11.97 30.23 1.37 185.95 1.72
AVG 1,388 26.88 41.16 2.38 201.88 3.11
STD 225.4 9.17 6.69 0.57 7.11 1.01
SE 26.56 1.08 0.79 0.07 0.84 0.12
SE/AVG 0.019 0.019 0.019 0.058 0.004 0.015

Table 3.

The coefficient of KSRM model according to district

District  R2 a b Xo
Sokcho 0.9959 1492.2 48.2 217.7
Cheolweon 0.9963 1404.0 32.1 204.5
Dongducheon 0.9961 1520.6 30.2 207.1
Daekwanryeong 0.9961 2006.6 45.4 213.9
Chuncheon 0.9963 1363.8 33.0 205.4
Baekryeongdo 0.9975 842.3 37.3 205.1
Gangreung 0.9953 1584.0 51.2 219.9
Donghae 0.9950 1377.4 49.1 218.1
Seoul 0.9963 1469.2 33.0 206.8
Incheon 0.9970 1255.8 35.6 207.3
Weongju 0.9967 1366.6 35.5 205.0
Ulreungdo 0.9961 1564.9 75.6 220.1
Suweon 0.9966 1332.5 35.2 205.6
Yeongweol 0.9965 1253.6 36.6 203.1
Chungju 0.9975 1237.2 37.4 206.0
Seosan 0.9973 1317.1 39.9 206.5
Uljin 0.9956 1205.1 53.0 213.9
Cheongju 0.9969 1267.5 38.6 204.6
Daejeon 0.9973 1488.8 37.1 200.9
Chupungryeong 0.9969 1214.6 39.5 201.2
Andong 0.9977 1094.2 39.3 199.3
Pohang 0.9965 1209.9 47.1 203.6
Gunsan 0.9974 1232.9 42.7 203.5
Daegu 0.9971 1097.6 39.5 201.7
Jeonju 0.9968 1343.4 40.7 200.9
Ulsan 0.9981 1327.1 45.4 198.0
Changweon 0.9984 1588.9 42.7 192.9
Kwangju 0.9962 1427.3 41.4 199.7
Pusan 0.9987 1559.6 43.5 190.0
Tongyeong 0.9991 1479.0 42.1 186.1
Mogpo 0.9980 1198.6 44.9 197.6
Yeosu 0.9988 1475.3 41.5 191.6
Heugsando 0.9990 1128.2 41.4 194.0
Wando 0.9989 1575.3 45.1 191.7
Jeju 0.9966 1596.9 53.6 205.7
Kosan 0.9983 1185.9 51.4 192.5
Seongsan 0.9977 2063.5 54.0 197.1
Seogyuipo 0.9992 1974.9 48.8 185.9
Jinju 0.9974 1563.1 41.8 196.6
Kanghwa 0.9971 1365.4 33.6 207.0
Yangpyeong 0.9963 1457.4 31.6 205.4
Echeon 0.9964 1397.4 34.0 204.5
Injeo 0.9969 1231.8 34.6 206.3
Hongcheon 0.9968 1426.8 33.4 205.0
Taebaek 0.9960 1379.1 41.8 205.8
Jeocheon 0.9966 1413.2 36.2 202.1
Boeun 0.9968 1322.4 37.7 201.7
Cheonan 0.9968 1256.0 38.4 208.2
Boryeong 0.9967 1271.9 39.8 206.2
Buyeo 0.9972 1377.7 39.3 202.0
Geumsan 0.9970 1322.9 39.3 200.2
Buan 0.9971 1281.4 42.6 203.0
Imsil 0.9952 1384.8 39.5 200.5
Jeongeup 0.9968 1354.2 43.7 203.1
Namweon 0.9960 1413.5 38.3 200.8
Jangsu 0.9961 1496.5 39.3 198.8
Jangheung 0.9979 1550.1 41.9 198.1
Haenam 0.9980 1367.7 44.4 196.3
Goheung 0.9985 1498.9 43.6 192.3
Bonghwa 0.9977 1245.1 38.1 198.4
Yeongju 0.9978 1320.7 38.0 199.7
Munkyeong 0.9976 1284.7 37.3 199.1
Yeongdeok 0.9965 1132.1 48.3 206.7
Yeuseong 0.9972 1059.2 38.4 201.5
Gumi 0.9967 1105.7 39.4 202.9
Yeongcheon 0.9972 1078.4 40.1 200.3
Keochang 0.9968 1354.1 38.8 200.9
Hapcheon 0.9968 1311.7 37.7 200.7
Milyang 0.9984 1257.3 39.5 195.1
Sancheong 0.9959 1613.6 39.4 203.4
Geojae 0.9987 2053.3 42.3 187.4
Namhae 0.9989 1891.0 43.2 190.4